SPI 뉴스레터 오늘 잼난 소식 많네요.
-요즘 서울에서 임대료 젤 비싼 곳이 어디게요..? 상상도 못하실 검다!
-롯데 제주도 카지노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두고 있다네요.
-최근 10년새 혼인건수가 40%나 줄어들었답니다…
SPI가 데일리 트렌드와 제휴하여 ‘SPI 위클리 뉴스브리핑’을 제공합니다. 매주 금요일, 한주 동안의 경제, 리테일 및 공간 비즈니스 시장 주요 소식과 SPI에서만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살펴보세요.
최근 10년 새 혼인 건수가 40% 감소
통계청의 ‘2023년 12월 인구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잠정치)는 19만 3,673건으로 10년 전인 2013년(32만 2,807건)보다 40.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미뤄왔던 결혼이 진행된 영향 등으로 1,983건(1.0%) 늘어났으나, 향후에도 혼인의 증가세가 유지될지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입니다. 분기별로 보면 혼인 건수는 2022년 3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2.8% 반등해 작년 2분기까지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같은 해 3분기 8.2%(3,707건), 4분기는 5.5%(2,907건) 각각 감소했습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2년 20.3%에서 2022년 15.3%로 감소했다. ‘결혼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42.4%에서 34.8%로 감소하는 등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33.6%에서 43.2%까지 증가했습니다. 이처럼 혼인 건수가 감소하면서 출생아 수 역시 감소하고 있는데요. 2012년부터 혼인 건수가 줄어들기 시작하자, 출생아 수 역시 2015년 43만 8,420명을 기록한 뒤 8년째 줄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67% “올해 신규 채용 계획”…경력직 선호 두드러져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 1월 10∼29일 100인 이상 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한 ‘2024년 신규채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 66.8%가 신규 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규 채용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22.2%, 신규 채용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1.0%였습니다. 신규 채용 실시 예정 기업 중 57.5%는 올해 채용 규모가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답했으며, ‘작년보다 확대’는 14.7%, ‘작년보다 축소’는 8.7%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다만 신규 채용 방식에 대해서는 ‘수시 채용만 실시’라는 응답이 60.6%로 가장 많았으며, ‘정기 공채와 수시 채용 병행’은 32.2%, ‘정기 공채만 실시’는 7.2%의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수시 채용의 경우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수시 채용만 실시’라고 답한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올해 채용시장에서 최대 변화 전망을 묻는 문항에서는 ‘경력직 선호도 강화’가 56.8%로 가장 많았고, ‘수시 채용 증가’가 응답률 42.2%로 뒤를 잇는 등 경력직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작년 소득 1%대, 먹거리물가 6%대 상승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가구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월평균 395만9천원(1∼4분기 평균)으로 전년보다 1.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전체 소득은 월평균 497만6천원으로 전년 대비 2.8% 늘었지만 이자·세금 등을 빼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은 1.8% 늘어 전체 소득보다 증가 폭이 더 작았는데요. 이는 고금리 지속 등으로 이자와 세금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가처분소득 증가율과 비교해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6%대로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는 각각 6.8%, 6.0% 올랐으며, 이는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각각 3.8배, 3.3배였습니다.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도 3.1%로 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았으며, 가공식품은 세부 품목 73개 중 68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습니다. 이처럼 지난해 먹거리 부담이 컸던 것은 빵과 과자, 아이스크림, 생수 등의 가공식품과 햄버거, 치킨 등 외식 품목 가격이 잇따라 인상되는 등 제품 가격이 줄줄이 인상됐기 때문입니다.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카지노 역대 최대 실적 기록
롯데관광개발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의 카지노 부문(드림타워 카지노)가 239억4천만원의 순매출로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총매출 기준으로도 사상 최고인 284억4천만원을 기록했는데요. 이로써 지난 1월(순매출 238억8천만원)의 직전 최대 기록을 한 달 만에 다시 경신했습니다. 지난달 순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38.3% 증가한 수치입니다. 롯데관광개발은 “비수기인 1∼2월 두 달 동안 카지노 매출이 지난해 상반기 6개월간 매출(480억원)과 같은 수준을 달성했다”며 “올해 들어 일본, 대만 및 동남아 고객 매출도 많이 늘어나고 있고 지난달에는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 기간 중국 고객들이 대거 방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비트코인 ETF에 66조원 유입… 블랙록, 최단기 13조원 도달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현물 ETF가 지난 1월 11일 출시된 이후 기록적인 수준으로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장된 비트코인 현물 ETF 10개의 총자산은 거의 500억달러(66조 7,000억원)에 달했는데요. 특히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iShares Bitcoin Trust)의 자산은 지난달 29일 100억달러(13조3천억원)를 돌파하면서 최단기간 13조원에 도달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초기에 자금의 대거 유입 이후 둔화로 이어질 것으로 봤지만, 비트코인 가격이 강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 수준에 근접하면서 최근 몇 주 동안 자금 유입 속도가 더 빨라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현물 ETF가 미국 당국의 승인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상승했고, 이제는 투자자들이 ETF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분위기도 더 긍정적이라고 보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머스크, ‘세계 최고 부자’ 타이틀 베이조스에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9개월여 만에 세계 최고 부자 순위에서 2위로 밀려나고, 제프 베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2021년 가을 이후 처음으로 1위 자리를 탈환했습니다. 아마존과 테슬라의 주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한때 1,420억달러(약190조원)에 달했던 재산 격차가 줄어들었기 때문인데요. 테슬라 주가는 2021년 한때 1조달러를 넘어서며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날 주가 급락으로 5,990억달러 수준으로 줄어들며 약 50%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머스크의 순자산 역시 1,977억달러(약 263조원)로 줄어들었습니다. 반면 아마존 주가는 2022년 말 이후 두 배 이상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면서 베조스의 순자산은 2,003억 달러(약 267조원)로 늘어나 억만장자 지수에서 1위로 다시 올라섰습니다.
서울 북창동 월평균 임대료 명동 제치고 1위
서울시rk 북창동, 명동, 압구정로데오역 등 주요 상권 145곳의 1층 점포 12,531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상가임대차 실태조사’ 결과 북창동의 1㎡당 통상임대료가 월 18만원으로 명동거리(17만 3,700원)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주요 상권의 단위면적 1㎡당 통상임대료는 평균 74,900원으로 전년(69,500원)보다 7.8% 상승했으며, 점포당 평균 전용면적 60.2㎡(18.2평)를 적용하면 통상임대료는 450만원으로 조사됐습니다. 보증금은 1㎡당 95만 6,000원으로 평균 점포면적 적용 시 5,755만원이었습니다. 지역별로는 북창동이 1㎡당 월 18만원으로 통상임대료가 가장 높았으며, 뒤를 이어 명동거리(17만 3,700원), 명동역(15만 3,600원), 압구정로데오역(14만 800원), 강남역(13만 7,900원) 순이었습니다. 북창동이 명동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에 대해 서울시는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명동 상권의 공실률이 올라갔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편, 서울 주요 상권의 월평균 매출액은 1㎡당 46만 3,000원으로 나타났는데요. 지역별로는 시청역(96만600원), 신촌역(95만 7,700원), 대치역(88만 5,300원), 상수역(86만 8,500원), 삼성역(86만 6,000원) 순이었습니다.
2월 물가 한달 만에 3%대 복귀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100)로 1년 전보다 3.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8∼12월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2.8%) 2%대로 떨어졌지만, 한 달 만에 3%대로 올라섰는데요. 특히 농산물 물가가 20.9% 올라 전체 물가를 0.80%포인트(p) 끌어올렸습니다.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 하락 폭도 전월(-5.0%)보다 축소된 1.5%에 그쳤으며 전체 물가 기여도도 1월 -0.21%p에서 -0.06%p로 줄었습니다. 한편 서비스 물가는 2.5% 오르며 전달(2.6%)보다 상승 폭이 다소 축소됐는데요. 공공서비스 물가 역시 2.0% 오르며 전달(2.2%)보다 상승 폭을 줄였습니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3.4% 상승했으며, 외식 물가는 3.8% 오르면서 2021년 10월(3.4%) 이후 28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작았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4.5%) 정점을 찍은 뒤 올해 1월(3.4%)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지만 넉 달 만에 다시 상승 폭이 커지면서 3.7%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50년 족쇄’ 풀어
서울시가 그동안 엄격하게 관리해 온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일부를 해제하는 등 규제 완화 검토에 나섭니다. 개발제한구역 제도와 지정 현황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용역을 이달 시작한다고 밝혔는데요.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행위 제한과 자연환경 보존이라는 획일적 기준에서 벗어나 도시환경 변화에 맞는 현실적인 기준을 정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 주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1971년 도입된 개발제한구역은 서울시 내에서만 149.09㎢로, 전체면적의 24.6%를 차지하는데요. 서울시는 불합리한 관리 기준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사실상 도시화한 지역 등 해제가 필요한 지역은 도시관리 방안을 마련하며, 미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적 개발사업 대상지도 찾습니다. 이에 더해 ‘저층 주거지 관리 개선방안 마련’ 용역도 이달 착수하여 층수 높이 등 건축 제한, 규제의 일률적인 적용 문제, 주거개발 활성화를 위한 특화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입니다.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 카지노 역대 최대 실적 기록
롯데관광개발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 드림타워 복합리조트의 카지노 부문(드림타워 카지노)가 239억4천만원의 순매출로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총매출 기준으로도 사상 최고인 284억4천만원을 기록했는데요. 이로써 지난 1월(순매출 238억8천만원)의 직전 최대 기록을 한 달 만에 다시 경신했습니다. 지난달 순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38.3% 증가한 수치입니다. 롯데관광개발은 “비수기인 1∼2월 두 달 동안 카지노 매출이 지난해 상반기 6개월간 매출(480억원)과 같은 수준을 달성했다”며 “올해 들어 일본, 대만 및 동남아 고객 매출도 많이 늘어나고 있고 지난달에는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 기간 중국 고객들이 대거 방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SPI의 다른 콘텐츠도 살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