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corn : MZ세대 감각의 희귀 주류 플랫폼의 돌풍

in RETAIL & E-TAIL

** 이 글은 오늘 하루만 무료입니다~!
힌풀 꺾인 와인과 #주류 시장에서 급성장 중인 주류 경매 플랫폼 #Unicorn. #애호가 시장은 늘 거래가 있는 법이죠. 시장이 너무 작다구요? 그건 애호가를 박학다식한 럭셔리 전문가로 오해한 게 아닐까요? 보다 대중적 시장을 공략하는 희귀 주류 경매 플랫폼의 세계. 누적 거래엑이 1억불에 달해서야 시드 투자를 받기 시작해 투자자들이 깜놀했다는 이 스타트업 얘기를 들어보세요.


안냐세요~ 상쾌한 아침입니다!

오늘은 진정한 오덕의 세계가 얼마나 큰 시장인지 이해해 볼 수 있는 멋진 사례를 들고 왔어요.
요즘 와인과 주류 시장이 한풀 꺾였다고들 하지만 그건 대중 소비 시장 이야기일지도요. ‘애호가’들의 시장은 아직도 솨라있답니다. 어느 시기나 오덕은 있는 법이고, 술꾼들은 그 오덕 중에서도 뿌리가 깊은 법!

근데 과연 술 오덕이란 과연 어떤 사람들일까요..? 고급진 술의 세계를 이해하는 박학다식한 사람..? 적어도 1926년에 증류되어 쉐리 오크통에서 60년 숙성되었다는 맥켈란1926의 세계 정도는 알고 있어야 오덕이라 말할 자격이 있는 걸까요?

만약 그런 초특급 전문가를 오덕으로 정의한다면, 오덕의 시장은 너무 적을 거예요. 의미있는 시장으로서의 오덕“술에 많은 지출을 하는 모든 사람”으로 정의되어야 해요. 누군가는 한 병에 30만원짜리 술을 1년에 1번 살 수도 있어요. 하지만 누군가는 주말마다 5만원짜리 1병씩을 뽀갠다 치자구요. 좌, 누가 더 돈많이 쓰는 진정한 술꾼이죠..?

애호가 시장이란 실제로 광범해요. 패션의 경우를 예로 들어도, 꼭 럭셔리를 사야 패셔니스타인 건 아니에요. 오늘도 많은 멋쟁이들은 Zara를 구매하고 중고 시장을 뒤져요.

오늘 소개할 Unicorn Auctions이란 스타트업은요. ‘신의 물방울’이 지배하던 현학적인 시장에 머물지 않고, 보다 광범한 애호가 시장을 공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주류 플랫폼이에요. 그간 주류 경매 시장은 럭셔리 주류 중심이었지만 더 대중적 시장을 개척했죠. 그리고 스스로 수익성을 입증함으로써 이 바닥의 강자가 어떤 포지셔닝을 가져야 하는지 몸소 보여주었어요.

혹시 지금 술이 안 팔려 고민이신가요? 그럼 너무 럭셔리에만 치중되어 있거나, 혹은 너무 대중적으로 오픈되어 있는 건 아닌지 함 점검해 보실 기회예요. ‘애호가’ 시장이란 퍼블릭과 럭셔리 그 중간 어드메쯤 있답니다.

지금부터 모호한 경계의 감을 잡기 위해 Unicorn의 이야기를 좀 들어보자구요. 다같이 고고씽!

매주 수천 건의 경매가 이뤄지고 100% 판매되는 곳

Unicorn Auctions은 미국 시카고에 본사를 둔 온라인 경매 플랫폼이에요. Unicorn은 전 세계 수집가들이 희귀 주류를 사고팔 수 있는 옥션을 제공하는데요. 2020년부터 시작해 2024년 기준으로 누적 판매액이 1억 달러를 돌파했어요.

Unicorn을 런칭한 사람들은 우버 창립 멤버들과 바텐더들이었어요. 우버(Uber) 초창기 멤버인 필 미하일로프(Phil Mikhaylov, CEO)와 케니 차이(Kenny Tsai, COO)가 시카고 호텔 업계 베테랑이자 유명 바 Wardy Eight를 운영하던 코디 모더(Cody Modeer, CBO), AJ 하인델(AJ Heindel, 최고제품책임자)과 요 창립 멤버들이죠.

이들은 고급 주류 시장엔 RealReal 같은 현대적 앱이 없다고 생각해서 이를 해결하는 ‘간단하고, 마찰 없고, 접근성 높은 플랫폼’을 만들고 싶어했어요. 그리고 2020년 2월에 자기들이 가진 개인 소장품들을 모아 첫 경매를 공식적으로 시작해요. 이것이 Unicron의 시작이에요.

그러다 코로나가 터지자, 바텐더를 하던 코디와 AJ는 자기 가게를 닫아야 했어요. 바텐더가 가게를 닫으니 시간이 남네..? ㅋㅋㅋ 그 때부터 이들인 Unicorn 비즈니스에 완전히 몰두하기 시작했답니다.

초기에는 1달에 1번 경매를 열었어요. 경매라는 게 출품할 물건이 쌓여야 경매를 오픈할 수 있는 거니깐요. 그러다 점점 경매 참여자가 늘면서, 2022년 말에는 한 번 경매할 때마다 출품수가 수천 병에 달해 가끔 월 2회 경매를 열어야 하는 수준으로 커져요. 이후 성장은 계속 가속화되어서, 2023년부터는 격주 또는 주간 경매 체제로 전환했다가 2025년 현재는 주간 경매 체제가 완전히 자리잡은 상황이에요.

경매당 거래 규모도 계속 커졌어요. 이제 회당 약 $120만~$200만 달러어치의 주류가 판매되고, 이제 주간 단위로 평균 6만5천 건 이상의 입찰이 이뤄질 정도로 거래활성도가 높아요. 5월 12일부터 5월 19일까지 열리는 경매에는 무려 3793개 보틀이 출품됐답니다.

매주 Unicorn의 경매에는 수천 개씩 출품되고 그 10배에 달하는 입찰 수가 모인다고 해요. 그리곤 모두 100% 판매되는데, 세상에 이렇게 활발한 경매 플랫폼은 흔하지 않아요.

Unicorn의 경매는 정해진 기간 동안 입찰을 받고 마감 시간에 종료되는 형식이에요, 일부 인기 품목은 마감 시각 연장(연장경매) 기능이 적용되어 최대 입찰가를 끌어올리기도 해요. 대부분의 출품 아이템에 최저가(Reserve)가 설정되지 않아 “시작가 $1”부터 자유 입찰이 가능해요. 번번이 판매율 100%를 달성하는 데에는 이 리밋 없는 최저가 시스템이 큰 역할을 하는 듯요.

“더 민주적인 애호가 플랫폼이에요”

Unicorn이 흥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 플랫폼이 여러모로 허들이 없다는 데에 있어요.

일단 ‘구색’도 흥미로운 것이요. Unicorn의 경우 희귀 온라인 주류를 다루긴 하지만 전통 경매 기업인 소더비(Sotheby’s)와 크리스티(Christie’s)에 비해 가격대가 낮은 제품도 굉장히 많아요. 진지한 수집가부터 초심자까지 모두가 자기 술을 내놓고 파는 시장이라, 한 경매 안에서도 $50짜리 병부터 $20만 달러짜리 위스키까지 거의 모든 가격대의 상품을 찾을 수 있답니다. 공통점은 다들 ‘희귀’하긴 하다는 거요.

5월 진행된 경매에서도 경매가 시작되자 중반에 15불부터 9000불까지 다양한 입찰가들이 매겨지기 시작했어요. 5월 16일 기준 입찰가 15불을 기록 중인 제일 저렴한 술 조차 3명이 입찰해 경쟁하고 있었죠.

Unicorn은 스스로를 다양한 종류의 수집가들을 환영하는 플랫폼이라고 정의해요.

럭셔리 주류에 몰입되지 않고 이런 컨셉이 가능했던 건, 창립 멤버 중 실제로 현장에서 고객들에게 술을 팔아봤던 바텐더들이 존재했기에 가능했어요. 그들은 자신이 찾는 Bar의 단골 손님들이 누구인지 알고 있죠. 그들은 소더비 경매에 참여하는 사람들과는 다른 일상 속의 술 애호가들이에요.

Hunter Walk 지에서 창립 멤버 중 하나였던 전직 바텐더 코디 모디어를 인터뷰했을 때 그는 이렇게 말했답니다.

“우리는 항상 Unicorn이 전통적인 경매 하우스보다 더 포용적인 플랫폼이 되기를 바랐어요. 어떤 사람이 50달러에 병 하나를 샀다가 80달러에 팔 수 있다면, 그 수익은 그 사람에게 충분히 의미 있을 수 있거든요. 전통 경매 하우스들은 보통 최소 출품 가격이 있거나 큐레이션 위주로 운영되는데, 이런 방식은 많은 사람들을 참여에서 배제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해요. 물론 업계가 그렇게 운영되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지만, AJ(공동창업자)와 저는 기술을 활용해서 참여 범위를 확장하고, 거기에 약간의 환대(hospitality)와 개인적인 터치를 더할 수 있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우버 출신인 CEO 필 미하일로프도 같은 철학을 지닌 사람이에요. 그는 출품자 중에는 은퇴를 앞둔 장기 수집가도 있고, 집 리모델링을 위해 현금이 필요한 사람도 있고, 생활비를 충당할 약간의 수입이 필요한 사람도 있다면서, 입찰자와 고객 중 많은 분들이 취미로 여기저기서 몇 병씩 사고 파는 분들이라고 밝혔어요. 사실 진정한 취미란 이러 것이죠.

저희 남편도 그중 하나였답니다. 지금은 통풍이 와서 술을 끊었는데요. 집에 실제로 Bar(본인이 가구집에 맞춰서 아직도 이사할 때 들고 김)를 차려놓고 콜렉션을 모으고 있었다니까요. 와인이며 위스키며 하나 둘 사 모았는데 그게 럭셔리한 술을 사는 것도 아니에요. 꼭 어서 희한한 거… ㅋㅋㅋ 저희 남편이 젤 좋아하는 건 ‘잘 모르는 술’, ‘신기한 술’들이었어요.. ㅋㅋㅋㅋ

Unicorn의 차별화된 서비스 중 하나는 “Unicorn Vault”로 불리는 전문 보관 솔루션이에요. 출품자는 판매 전에 해당 주류를 Unicorn 측에 보내야 하고, 법규상 경매 주류는 회사가 물리적으로 보관·관리하게 되어 있으니 Unicorn도 이를 지키는 것이죠.

Unicorn은 시카고에 온도 관리 창고를 두고 모든 출품 병을 검수 후 충격 완화 포장재로 밀봉해 보관해요. 낙찰 즉시 발송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대기하지만, 낙찰 후 구매자는 해당 병을 꼭 배송받지 않아도, 희망 시 계속 Vault에 보관할 수 있어요. Vault에 보관된 병들은 사용자의 앱내 디지털 셀러(digital cellar)에 등록되어 온라인으로 자산처럼 관리할 수 있답니다. 그럼 추후 다시 경매에 내놓는 것도 용이해지죠.

2025년 현재 Unicorn이 관리 중인 보관 병은 25만 병 이상에 달해요. 평가 금액으로 치면 1억 달러가 넘는 주류 자산이 Vault에 저장되어 있는 셈!

경쟁자들과의 비교: 모두를 환영한다는 것과 전통적인 거래의 힘

Unicorn의 주요 수익원은 거래 수수료예요.

여기서 술을 구매하고 싶은 이용자들은 입찰 승인을 위해 신원 확인 및 결제수단 등록 절차를 거치지만 별도 가입비나 참가비는 없어요. 구매자는 낙찰가에 대해 15% 프리미엄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고, 여기에 판매세 10.25%도 내야 해요.

여기서 술을 팔려는 판매자 또한 낙찰가의 5%를 Unicorn에 커미션으로 내야 하고, 병당 5달러의 고정 수수료도 지불해야 해요. 보관(vaulting)을 원하는 경우에는 보관 수수료도 주류에 따라 내야 하는 시스템이에요.

이 방식은 Unicorn은 전통 주류 경매의 수수료 모델을 그대로 적용한 형태예요. 다만 한 병이 판매될 때 Unicorn이 취하는 총 수수료는 약 20% 수준으로, 전통 경매사의 20~25% 수준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편이에요.

이 방식으로 지금 Unicorn은 누적 거래액 1억 불을 기록하고 있는 건데요. 그러니까 2020년부터 누적 매출로 적어도 2천만불은 땡겼단 소리쥬? 아직 이 매출이 많아 보이시지 않을 수 있는데, Unicorn의 모델을 다른 경쟁사들과 비교하면 이 플랫폼의 수익성이 얼마나 빛을 발하는지 알 수 있어요.

주류 온라인 플랫폼은 사실 Unicorn만 있는 게 아니에요. 비슷한 라이벌로 Vinovest, BlockBar 등의 다른 유명 스타트업들이 있어요.

Vinovest는 와인 및 위스키 투자에 초점을 맞춘 ‘투자’ 플랫폼이에요. 이용자가 자금을 맡기면 Vinovest 측이 전문 알고리즘과 소믈리에팀의 추천을 통해 고가 빈티지 와인/위스키를 매입·보관하고, 시간이 지나 자산가치가 상승하면 매각하여 수익을 돌려주는 모델이죠.

Vinovest도 보관 창고 및 보험을 제공하는데요. 수수료 구조는 관리 자산에 연 2-2.85%의 운용/보관 수수료와 판매시 Vinovest측 커미션을 받는 형태예요. 수수료율이 Unicorn에 비하면 매우 작지요? 그건 이 플랫폼이 경매가 아닌 투자 모델을 가져오고 있기 때문이에요.

Vinovest는 투자 등급의 프리미엄 주류만 다루고 위스키는 1850불 부터 캐스크 단위로 투자할 수 있고, 3-5년은 보유해야 한답니다. Vinovest가 돈을 버는 건 결국 수수료가 아니라 투자한 위스키 값이 올라야 돈을 버는 구조죠.

Vinovest도 쌔끈한 플랫폼이라 할 수 있지만… Vinovest의지난해에 4분기 수익률은 -4.79%이었어요. ㅠㅠㅠ 그

Unicorn은 이에 비해 더 즉각적 수익을 만들어요. 왜냐면 거래가 될 때마다, 20%씩 수수료를 를 걍 뚝 매출로 취하는 모델이니까요. 매주 수천 건의 경매가 따박따박 이뤄지니 현금 돌아갈 걱정이 없다는 말씀!

또 다른 경쟁사인 BlockBarNFT(대체불가토큰)를 활용한 주류 거래 플랫폼인데 얘는 럭셔리만 취급해요. BlockBar는 럭셔리 양조장과 파트너십을 맺고 이들 직접 출시한 한정판(예: 맥칼란 한정판, 루이 XIII 코냑 등)을 NFT로 판매하는 쌔끈한 곳이랍니다. NFT는 주류 판매에 매우 요긴하고 획기적인 도구지만, 구매자가 NFT 거래란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면 멈칫하게 되는 허들이 있어요.

BlockBar 또한 수익은 간접적이에요. 이 플랫폼은 거래 수수료 대신 NFT 발행 마진과 2차 거래 로열티로 수익을 얻는데요. NFT로 구매자들은 이 토큰을 2차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데, 보통 BlockBar에서 판매하는 위스키가 한정판이기에 2차 거래시엔 프리미엄이 붙어요. 처음 NFT를 발행할 때와 2차 거래시 프리미엄이 이 기업의 매출이 되는 셈이에요.

BlockBar도 지금 잘 나가긴 하는데요. 이 기업의 3년 간 누적 매출은 3-4천억 불 정도로 예측되어요. Unicorn의 1억불은 여기에 비하면 엄청난 것…! BlockBar도 대중 애호가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어요. 지난해부터 프리미엄 주류를 벗어나 인디 양조장과 장인 공방들의 제품을 다루는 영역, 즉 보다 저렴한 주류로 범주를 확대하는 중이랍니다. BlockBar 얘긴 오늘 스몰토픽에서 따로 썼으니 함께 보셨으면요.


술 애호가들의 눈 높이에 맞는 쉬운 거래 방식

여러 프리미엄 주류 플랫폼들 사이에서 Unicorn이 최근 주목받는 이유는 이 플랫폼이 “활성화” 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Unicorn은 2020년 런칭 이래 매년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이어왔어요.

Unicorn Auctions는 다른 플랫폼들과는 달리, 2024년 4월 말에야 처음으로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580만 달러(한화 약 75억 원)를 유치했는데요. 당시 투자자들 왈 거래액이 3년 만에 1억 불이 넘었는데 아직 밸류에이션이 안되었다는 점에 놀랐다네요.

이 라운드에는 다수의 유수 투자자가 참여했는데, 시카고 기반 Protagonist 벤처스와 Blue Equity, 640 Oxford Ventures, Middleton Partners 등이 주도 투자자로 참여했고, NBA 스타이자 사업가 Carmelo Anthony와 그의 와인 벤처 VII(N) The Seventh Estate, Wirtz 가(家) (미국 대형 주류유통사 가문) 등 엔젤 투자자들도 함께 했어요.

Unicorn에 따르면, 현재 $100 이상 주류 제품 중 30%는 MZ세대가 구매한다고 해요. 이들은 공통적으로 “당장 실물을 배송받기 보다 디지털 자산으로 보유”하길 원하고 있는데요. 주머니가 가벼운 MZ세대들이 투자하기엔 BlockBar나 Vinovest에 비해 Unicorn의 허들이 훨씬 낮기에 쉽게 모여드는 거죠.

Unicorn은 ‘애호가’들의 시장에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만드는 사례예요. 보통 애호가 시장에 대해 ‘그 시장은 너무 작아서 돈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되기도 하는데, 그건 우리 스스로 시장을 너무 작게 잡아서 그런지도요. 한편으론 너무 크게 잡는다면 그게 대중 시장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 의문이 들 수 있어요. 대중 시장엔 ‘가격’만이 선택 기준으로 존재하지면, 애호가 시장엔 ‘재미’가 있어야 하는 법이죠.

예를 들어 슈퍼마켓의 경우에도 월마트에 가면 제품 설명 따윈 따로 존재하지 않는답니다. 월마트는 ‘가격’만 적어놓아요. 바로 그렇기에 완전한 대중 시장, 가성비 시장의 원톱인 건데요. 하지만 월마트가 지배하는 지역에서도 Sprout나 Trader Joe’s 같은 사랑스런 슈퍼마켓들은 힘을 발휘해요. 이 두 슈퍼는 저렴하면서도 재미가 있어요. 나름 유기농 애호가라 생각하는 가벼운 주머니의 모든 사람이 방문하게 해놓았거든요.

여러분은 애호가를 타겟팅하시나요, 아니면 퍼블릭을 타겟팅하시나요? 오늘 이 심오한 경계를 고민해 보시오소서~! 전 담주에 또 새로운 이야기로 찾아오겠심다~ 휘리릭!

Latest from RETAIL & E-TAIL

This category can only be viewed by members.

이용약관


  • *약관을 읽으시고 팝업창을 닫은 뒤, 동의란을 클릭해주세요. 

    제1장 총 칙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데일리트렌드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라 함)의 이용조건 및 절차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용어의 정의
    1. 회원: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을 통하여 회사와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아이디(ID): 회원 식별과 회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회원이 선정하고 회사가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이용계약: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회사와 회원 간에 체결하는 계약
    4. 비밀번호: 회원의 비밀 보호를 위해 회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5.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전항에서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거래관행 및 관계법령에 따릅니다

    제3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이 약관의 내용은 서비스 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회사는 합리적인 사유가 발생한 경우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지체 없이 이를 공시합니다. 단, 회원의 권리의무 등 중요한 규정의 변경은 최소 일주일 전에 공시합니다.
    3. 회원은 변경된 약관의 내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약관변경의 효력발생 이후 계속적인 서비스 이용은 회원이 약관변경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제4조 약관 외 준칙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기본법, 전기통신사업법 및 기타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합니다.

     

    제2장 서비스 이용계약

    제5조 서비스의 구분
    1. 회사가 회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유료서비스 및 무료서비스로 구분되고, 각 서비스는 몇 개의 하위 서비스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습니다.2.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추가의 정보(주소, 결제방법 등)를 입력하고, 전송 확인 버튼을 누르는 등 별도의 이용의사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기타 하위 서비스 등의 종류와 이용방법 등은 회사가 이 약관 또는 공지, 이용안내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

    제6조 이용계약의 성립
    1. 이용계약은 회원의 이용신청에 대하여 회사가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2. 이용계약은 아이디 단위로 체결합니다.

    제7조 이용신청의 승낙
    1. 회사는 이용신청이 다음 각호의1에 해당하는 경우 승낙을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① 타인 명의의 신청
    ② 이용신청 시 기재사항을 허위로 하여 신청한 경우
    ③ 이용신청자가 회사의 채무자로서 채무를 완제하지 않고 있는 경우
    ④ 기타 이용신청자의 귀책사유로 이용승낙이 곤란한 경우
    2. 회사는 다음 각호의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해소될 때가지 이용승낙을 보류할 수 있습니다.
    ① 설비의 여유가 없는 경우
    ② 기술상 또는 업무수행상 지장이 있는 경우

    제8조 회원 아이디 부여
    1. 회사는 이용신청자에게 이용신청 순서에 따라 회원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2. 다음 각호의1의 경우에는 회사는 이용신청자 또는 회원에게, 신청하는 아이디나 부여된 회원 아이디의 변경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① 기존의 회원 아이디와 동일한 아이디로 이용 신청하는 경우
    ② 회원 아이디가 전화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으로 등록되어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는 경우
    ③ 타인에게 혐오감을 주거나 미풍양속을 해치는 경우
    ④ 기타 합리적인 사유가 있는 경우

    제9조 회원정보의 변경

    1. 회원은 회원정보관리 화면을 통하여 언제든지 본인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서비스 관리를 위해 필요한 실명, 아이디 등은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2. 회원은 회원가입신청 시 기재한 사항이 변경되었을 경우 온라인으로 수정을 하거나 전자우편 기타 방법으로 회사에 대하여 그 변경사항을 알려야 합니다.
    3. 제2항의 변경사항을 회사에 알리지 않아 발생한 불이익에 대하여 회사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제10조 개인정보보호 의무
    “회사”는 “정보통신망법” 등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 및 “회사”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이 적용됩니다. 다만, “회사”의 공식 사이트 이외의 링크된 사이트에서는 “회사”의 개인정보취급방침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제3장 계약당사자의 의무

    제11조 회사의 의무

    1. 회사는 관련법과 이 약관이 금지하거나 미풍양속에 반하는 행위를 하지 않으며, 계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여 노력합니다.
    2. 회사는 회원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며, 유지.점검 또는 복구 등의 조치를 성실히 이행하여야 합니다.
    3. 회사는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알게 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본인의 승낙 없이 제3자에게 누설, 배포하지 않고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합니다. 회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기타의 사항은 정보통신망법 및 회사가 별도로 정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따릅니다.
    4. 회사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불만이 정당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이를 즉시 처리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회원이 제기한 의견이나 불만사항에 대해서는 게시판을 활용하거나 전자우편 등을 통하여 회원에게 처리과정 및 결과를 전달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 일정을 통보합니다.
    5. 개인정보의 관리책임자는 김소희이며 연락처는 02-514-8147입니다.

    제12조 회원의 의무
    1. 회원은 관계법, 이 약관의 규정, 이용안내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공지한 주의사항, 회사가 통지하는 사항 등을 준수하여야 하며, 기타 회사의 업무에 방해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됩니다.
    2. 회원은 이용계약에 따라 요금 등을 지정된 기일까지 납입하여야 합니다.
    3. 회원은 다음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됩니다.
    ① 신청 또는 변경 시 허위내용의 등록
    ② 타인의 정보도용
    ③ 회사가 게시한 정보(데일리트렌드의 컨텐츠)의 캡처 및 복사
    ④ 회사가 제공한 정보(데일리트렌드의 컨텐츠)의 송신 또는 게시
    ⑤ 회사와 기타 제3자의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에 대한 침해
    ⑥ 회사 및 기타 제3자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⑦ 외설 또는 폭력적인 메시지, 화상, 음성, 기타 공서양속에 반하는 정보를 “서비스”에 공개 또는 게시하는 행위
    ⑧ 회사의 동의 없이 영리를 목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는 행위
    ⑨ 기타 불법적이거나 부당한 행위
    4. 회원은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철저히 관리하여야 하며, 관리소홀, 부정사용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 본인이 부담하며, 회사는 이에 대한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5. 회원은 본인의 ID 및 비밀번호를 제3자에게 이용하게 하여서는 아니되며, 회원 본인의 ID 및 비밀번호를 도난당하거나 제3자가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하는 경우에는 즉시 비밀 번호를 변경하여야 하며, 해당 사실을 회사에 통지하고 회사가 안내하는 바에 따라야 합니다.

     

    제4장 서비스 이용 

    제13조 정보의 제공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 중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다양한 정보를 공지사항이나 전자우편 등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회원은 관련법에 따른 거래관련 정보 및 고객문의 등에 대한 답변 등을 제외하고는 언제든지 전자우편에 대해서 수신 거절을 할 수 있습니다.

    제14조 서비스 이용시간
    1. 서비스의 이용은 회사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1일24시간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 점검 등의 필요로 회사가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않습니다.
    2. 회사는 서비스 별 이용가능 시간을 별도로 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그 내용을 사전에 공지합니다.

    제15조 게시물 등의 관리
    1. 회사는 회원이 본 서비스를 통하여 게시, 게재, 전자메일 또는 달리 전송한 내용물에 대해 일체 민,형사상의 책임을 지지 않으며, 다음의 경우에 해당될 경우 사전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①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와 관련되거나, 그 행위를 구성하는 게시물, 자료로서 이해 당사자의 삭제 등
    요청이 있거나 회사가 피소, 고발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게시물
    ② 서비스에 위해를 가할 소지가 있는 바이러스 등이 포함된 게시물
    ③ 게재기한을 초과한 게시물
    ④ 다른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게시물
    2. 회원의 게시물이 정보통신망법 및 저작권법 등 관련법에 위반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권리자는 관련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해당 게시물의 게시중단 및 삭제 등을 요청할 수 있으며, 회사는 관련법에 따라 조치를 취하여야 합니다.
    3. 회사는 전항에 따른 권리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라도 권리침해가 인정될 만한 사유가 있거나 기타 회사 정책 및 관련법에 위반되는 경우에는 관련법에 따라 해당 게시물에 대해 임시조치 등을 취할 수 있습니다.

    제16조 게시물에 대한 권리 및 책임
    1. 회사의 이름으로 게시된 모든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은 회사에 귀속됩니다. 회사의 허가 없이 타인에 의해 게시물이 다른 사이트에서 사용 또는 인용되는 것은 금지 됩니다.
    2. 회원이 게재한 게시물에 대한 저작권은 회원의 소유에 속합니다. 다만 회원은 회사에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허락한 것으로 봅니다.
    3. 전항의 의사 표시는 회사가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에서 정한 바에 따라 철회 할 수 있습니다.

    제17조 광고에 대한 동의
    회원은 회사가 광고, 정보 등을 회원에게 전자우편 등의 방법으로 송신하는 것에 대하여 이 약관을 통하여 동의합니다

     

    제5장 이용제한 및 계약해지 

    제18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1. 회사는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회원의 서비스 이용을 일부 또는 전부 제한할 수 있습니다.
    ①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등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②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경우
    ③ 기타 불가항력적 사유가 있는 경우
    2. 회사는 국가비상사태, 정전,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정상적인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한하거나 정지할 수 있습니다.

    제19조 서비스 이용제한
    1. 회사는 회원이 다음 각호의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회원의 서비스 이용을 일부 또는 전부 제한할 수 있습니다.
    ① 제12조 각항의 규정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② 타인명의 신청 또는 허위의 신청, 중복가입인 것이 확인된 경우
    ③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④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⑤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등을 유포하는 경우
    ⑥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경우
    ⑦ 서비스를 이용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⑧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대상인 경우
    ⑨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⑩ 다른 회원의 회원 아이디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경우
    ⑪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회사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⑫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하는 경우
    2.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회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의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회사의 공지, 이용안내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21조 이용제한 및 해제절차
    1. 회사는 사전 통지 없이 바로 전조의 이용제한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2. 회사로부터 이용제한 조치를 받은 회원은 회사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의제기일로부터 일주일 이내에 그 사유를 회원에게 통지하여야 합니다.
    3. 회사는 이용제한 기간 중에 그 사유가 해소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제한조치를 즉시 해제합니다.

     

    제6장 계약 해지 및 이용요금 

    제22조 계약해지

    1. 회원은 언제든지 회원정보관리 화면 또는 고객센터 등을 통하여 이용계약 해지 신청을 할 수 있으며, 회사는 관련법 등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2. 회원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 관련법 및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따라 회사가 회원정보를 보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지 즉시 회원의 모든 데이터는 소멸됩니다.
    3 회원이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 회원이 작성한 게시물 중 본인 계정에 등록된 게시물 일체는 삭제됩니다. 다만, 타인에 의해 담기, 스크랩 등이 되어 재게시되거나, 공용게시판에 등록된 게시물 등은 삭제되지 않으니 사전에 삭제 후 탈퇴하시기 바랍니다.
    4. 회사는 제20조의 제1항 각호의 사유가 있을 경우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제23조 이용요금

    1. 별도로 표시한 유료 서비스를 제외한 서비스는 회원들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2. 유료 서비스의 이용요금 및 결제방식은 해당 서비스에서 명시한 규정 및 관련 규칙에 따릅니다.

     

    제7장 손해배상 등

    제24조 손해배상
    무료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회사는 고의가 없는 한 회원에게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지 않습니다.

    제25조 면책조항

    1. 회사는 천재지변 또는 이에 준하는 불가항력으로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에 관한 책임이 면제됩니다.
    2. 회사는 회원의 귀책사유로 인한 서비스 이용의 장애에 대하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3. 회사는 회원이 서비스와 관련하여 게재한 정보, 자료, 사실의 신뢰도, 정확성 등의 내용에 관하여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4. 회사는 회원 간 또는 회원과 제3자 상호간에 서비스를 매개로 하여 거래 등을 한 경우에는 책임이 면제됩니다.
    5. 회사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관련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6. 회사는 연회원의 구독 중지 요청시 연회원에게 부여한 할인혜택을 차감한 후 지불합니다.

    제26조 관할법원
    요금 등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될 경우 회사의 본사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합니다.

    [부칙]
    본 약관은 2018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 0 0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