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AI를 도입한 기업 수는 도입하지 않은 기업 수를 초과할 시점입니다. 생성AI가 확산된 뒤 지난 몇 년간 비즈니스 씬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AI 사용의 실태와 주요 기업의 도입 사례에 대한 영감이 될 글 들을 모아보았습니다.

리테일 & AI 트렌드 몰아보기
Most Viewed Posts
오늘일주일한달
- 한국 유통 통계 2025 H1
- K뷰티가 자기복제를 멈추고 글로벌 뷰티 브랜드와 경쟁하는 법
- [Lyst Index] 2025년 2분기 핫브랜드 1위와 핫제품 1위
- [몰아보기] 백화점 트렌드
- [VIP] 티몬 오픈 연 外
- Patagonia가 푸드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이유
- [19금] 다이칸야마 T-site 개발의 ‘속살’ 이야기
- How They’re Moving
- AARP, 이 엄청난 기회를 한국에선 누가 잡을까요?
- 실버시대(1) : ‘실버 할인’을 도입하는 유통들
- [19금] 다이칸야마 T-site 개발의 ‘속살’ 이야기
- [몰아보기] 백화점 트렌드
- [몰아보기] 부동산 트렌드 머머 있었더라?
- ‘숙면’: 럭셔리 웰니스의 열풍이 향하는 곳
- [무료보기] 日 ‘타이미’ 단기 알바 매칭으로 상장해 시총 1조원 초과한 스타트업
- [무료보기] 베르나르 아르노 富의 법칙 : 부동산과 M&A
- [몰아보기] 편의점 트렌드 머머 있었더라?
- Miniso의 폭풍 성장: Temu나 Shein과는 다른 중국발 大魚
- AARP, 이 엄청난 기회를 한국에선 누가 잡을까요?
- 日 미츠코시 이세탄 : 일반직들의 노코드 DX가 얼마나 놀라운지
- 워라밸이란 개념이 시대에 맞나요?: 일과 삶은 상충한다고 전제하는 것의 문제
- 냉정한 직원평가가 비인간적이던 시대가 끝났습니다
- 日 ‘인생을 함께 살아가는 위스키’ 4분 만에 10억원
- 크리스피크림: 성급한 성장욕과 ‘배임’의 상관관계
- 日 코메효가 ‘백화점식 중고’ 모델로 1조 5천억원 대기업이 된 방법
- J-뷰티 SHIRO: 광고비 없는 성장이 어떻게 가능한지
- PopMart 주가가 177% 성장할 때 Funko는 67% 추락 : 무엇이 달랐나요
- [VIP] 주목할 움직임: 롯데 본점 外
- 日 대형마트에 ‘소형위성점’이란 해법: 리테일 ‘허브앤스포크’ 시대
- [무료보기] 기업들, 직원 ‘특권의식’과의 전쟁
News
IKEA는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8월 8일 전자상거래 플랫폼 JD.com에 디지털 매장을 오픈했습니다( Reuters 보도 )
언더아머는 이번 분기에도 매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수요 감소와 관세 관련 비용이 추가로 1억 달러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Reuters 보도 )
코스트코는 7월(8월 3일 마감 4주) 매출이 8.5% 증가하여 총 208억 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전체 회사 매출은 6.4% 증가했으며, 미국 매장은 5.5%, 캐나다 매장은 7.6% 증가했습니다( Chain Store Age 보도 )
토요타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인해 100억 달러의 이익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시사했습니다. 또한, 전체 영업 이익 전망치를 16% 하향 조정했습니다( CNN Business 보도 )
Latest from Blog

월마트: AI 에이전트가 검색을 대체하며 곧 검색창이 없어질 거라 예고
지난달 #월마트 는 월마트앱에서 '#검색'이 사라지고 월마트의 #AI_에이전트가 이를 대체할 거라 발표했어요. 월마트는 미래에 대해 확신에 찬 발언을 그다지 하지 않는 '무거운' 기업인데요. 현재 월마트의 데이터는 대체 어떤 변화를 가르키고 있을까요? 월마트는…

리테일 & AI 트렌드 몰아보기
이제 AI를 도입한 기업 수는 도입하지 않은 기업 수를 초과할 시점입니다. 생성AI가 확산된 뒤 지난 몇 년간 비즈니스 씬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AI 사용의 실태와 주요 기업의 도입 사례에 대한 영감이 될…

ChatGPT 체크아웃 시스템이 리테일 업계에 가져올 영향
스몰토픽이에요~ 지난달 ChatGPT에 체크아웃 기능이 일부 브랜드들에게 시연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지요?이 흐름이 확장되면 리테일 업계엔 어떤 변화가 오게 될까요? 지금까지 알려진 대처 방법들 알아봅니다~…

로레알과 몽클레르가 대미 15% 관세를 3%로 완화하는 법
유럽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미 #관세 15%를 내야하는 입장이죠? 유럽의 대기업 브랜드들은 이 15%를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데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내가 마진을 깎아 저가로 수출해야 할까요? #로레알 과 #몽클레르 는…

글로벌 뷰티들의 대량 해고 물결: 관세가 뷰티에 끼친 영향
글로벌 #뷰티 기업들의 고난이 시작되고 있어요. 경기 둔화와 관세란 이중 압박 속에 이들이 처음 꺼낸 카드는 #구조조정 이에요. 대규모 감원을 진행 중인 기업들이 누군지 알아봅니다. 글로벌 뷰티 업계가 관세와 경기 둔화라는 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