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기관이 제시한 #2025년한국경제전망 은 그다지 밝지 않아요.. 특히 리테일러들은 최근 몇년간 심화되어 온 #트레이딩다운 소비에 대응할 예리한 방법들을 연구해야 해요. 가격을 인상해도 이익이 나지 않을 수 있어요. #스플러지 소비와 하향 소비 사이에서, 어떤 소비자와 어떤 모먼트를 함께할 것인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에요.
안냐세요~ 상쾌한 아침입니다!
오늘과 내일은 2025년 소비 트렌드를 좀 짚어볼까 해요. 이미 노벰버브리핑에 참여해서 들으셨던 분들도 계시지요? 오늘은 주요 글로벌 보고서들이 수년째 이야기하는 소비 전망 중에 굵직한 테마 하나를 짚어볼까 해요. 그거슨 바로 '트레이딩다운(Trading down)'!
트레이딩다운(Trading Down)'은 소비자들이 경제적 불확실성이나 개인 재정 압박으로 인해 고가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저가의 대체품으로 전환하는 소비 패턴을 뜻해요. 이를테면 늘 코카콜라의 콜라를 사먹었지만, 이제는 대형마트의 PB 콜라로 전환했다든가 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