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토픽이에요~ 오늘부터 #유투브 가 #생성AI 콘텐츠는 수익화 대상에서 제외한답니다. AI로 마구마구 콘텐츠를 찍어 올리는 계정들에게 경종을 울리고 있는 건데요. 이런 콘텐츠가 많아지면 유투브 인프라 부담이 만만치 않아요.
미국 시간으로 어제, 한국 시간으로는 오늘부터 유투브가 개정된 수익화 대상 콘텐츠 정책을 실시하는데요.
가장 돋보이는 개정은 AI에 의해 대량 자동 생성된 콘텐츠는 수익화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방침이에요. 이는 Veo3, Sora, Runway 등 생성형 AI 도구로 짧은 시간 안에 대량 제작이 가능해진 콘텐츠에 대응하기 위한 방침이에요.
가끔 주변에서 “AI로 콘텐츠를 자동생성해서 블로그랑 유투브를 운영하며 얼마를 벌고 있다~”라며 수익화에 성공했다는 사람들 보신 적 있지요? 오늘부턴 그런 콘텐츠는 수익화에서 제외돼요.
유투브의 새로운 정책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향후 “사람이 만든 독창적인 해설이나 편집이 없는 AI 음성 해설 영상”, 또 “단순한 슬라이드쇼에 가까운 AI 이미지 나열 콘텐츠” 등도 수익화 대상에서 제외힐 예정이라고 해요.
YouTube가 수익화 조건으로 ‘사람의 창의성과 독자성’을 중시하고 있어요.
이런 입장을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에요. 몇 년 전부터 뉴스 사이트의 기사를 복사해 기계 음성으로 읽게 한 영상이 YouTube에서 부쩍 늘어났죠. 심지어 유명 연예인이나 정치인의 사진에 실제로 하지도 않은 자극적인 발언을 했다고 지어내는 경우로도 이어졌는데요. 이때도 YouTube는 해당 영상을 “창의성과 독자성이 부족하다”며 수익화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어요.
이제 생성AI가 발전하면서 이런 가짜 영상들은 더 많아지고 있어요. 특히 이런 영상들을 대량으로 업로드하는 계정이 늘면, 유투브는 소셜의 퀄리티가 낮아진단 문제도 있지만, 당장 너무 큰 인프라 부담을 질 수 있다는 위험에 부딪혀요요.
유투브가 AI 영상의 대량 업로드를 우려하는 첫 번째 이유는 바로 운영 비용이랍니다. 누구나 대량의 AI 영상을 업로드하게 되면, 이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비용 및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하여 유투브의 경영 기반 자체를 압박할 수 있죠.
아울러 구글의 AI가 유투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해 학습하거든요? 유투브에 올라온 콘텐츠의 품질은 곧 Google의 AI 품질에 직결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어요.
AI와 크리에이티브의 밸런스는 어디일까요? AI 콘텐츠가 처음엔 신기했는데 저도 이제는 질려버린 상황요. 하지만 저 자신 또한 AI가 없으면 일하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으니…!
뭔가 중간에서 선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