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많은 #패션브랜드 들이 #매장포맷 을 수정하고 있어요.
이제 매장수를 줄이는 것 가지고는 되지 않는답니다. 더 근본적인 유통전략의 수정이 필요해요.
2개 브랜드의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들 수정하고 있는지 알아볼께요.
edited by sasshi (박주민)
코로나 이후 '매장 형식'에 대해 재고하는 패션브랜드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과거 패션 기업들이 매장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준은 단순했어요. 몇평 규모의 매장이면 얼마 정도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는 데이터를 토대로 적합한 상권에 비슷한 사이즈의 점포를 내는 게 수순이었죠.
그런데 점점 이커머스가 커지면서 많은 기업들은 오프라인 포맷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어요. 견디다 못해 폐점한 오프라인 매장수는 늘어가고 있었지만 기업차원에서는 '매장의 수'를 조절하는데 초점을 둘 뿐 '매장의 포맷'을 다시 잡아야 하겠단 생각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었는데요.
'코로나'라는 커다란 계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