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 아니어도 괜찮아 : 워케이션 하기 좋은 도시 2. 남해

#남해 를 만들고 있는 사람들은 누굴까요?#워케이션 과 #로컬스타트업 이야기를 써주고 계신 문승규 작가님.이번에는 남해의 로컬 스타트업 이야기들을 써주셨어요.#팜프라, #플랜포히어, #해변의카카카#유휴하우스.누군가는 이곳에서 무언가를 만들고 있어요..! 한국관광공사의 ‘빅데이터 기반 신규 관광 트렌드 및 사업 발굴 – 워케이션 후보지 발굴과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8월 기준 48.8%의 기업에서 재택근무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이후 원격근무를 경험한 사람은 74.0%로 나타났습니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이후에도 51.8%의 기업이 재택근무를 계속 시행하겠다고 응답했으며, 원격근무가 영구적으로 지속될 것이란 의견은 35.0%로, 코로나19 이전 원격근무를 경험한 15.0%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택근무, 원격근무 등과 같은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일과 휴식, 일과 여가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워케이션 시장을 부상시켰습니다. 일본의 경우 2020년 699억 엔이던 시장규모가 2025년 3,633억 엔으로 5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업 복지 차원에서 워케이션을 선택하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토스 서비스를 운영하는 핀테크 기업 ‘비바리퍼블리카는’는 2021년 11월, 경상남도 남해군과 협업해 남해군에서 소유하고 있는 유휴공간 1층은 사무실로, 2층은 숙소로 만들었습니다.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팀원 7명이 2주간 남해에서 함께 근무하며 생활하였고, 새로운 제품 2개를 론칭하였는데, 평균 만족도가 7점 이상으로 반응이 좋았습니다.  한화생명은 2021년 7월부터 ‘리모트 워크플레이스’를 도입했습니다. 직원들이 본사가 아닌 새로운 곳에서 일하면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강원도 양양에 위치한 호텔에 업무 환경을 조성하였고, 퇴근 후에는 요가, 명상 등의 프로그램도 지원하였습니다.  CJ ENM 역시 2021년 10월부터 제주도에 거점 오피스를 마련하고 직원들에게 한 달간 제주살이 기회를 주는 인사 제도를 마련했습니다. 매월 10명씩 신청을 받아 숙박, 교통 지원금으로 월 200만 원을 제공하고, 원하는 곳에서 숙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근무시간 외에는 자유롭게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워케이션 트렌드는 여행과 일상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숙박, 식음, 교통, 레져 등 전통적인 산업의 형태도 바꾸고 있습니다. 한국관광공사에서는 워케이션 주요 속성으로 숙소 유형(공유숙박, 호텔, 전통숙박, 캠핑, 펜션), 장소 유형(공원, 농촌, 도시, 바다, 산), 퇴근 후 콘텐츠(농촌체험, 액티비티, 감성레저), 식음 및 부대시설(레스토랑, 카페), 비대면(외지인방문객 혼잡도), IT기술(공공와이파이), 접근성(개인차량, 대중교통)을 선정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워케이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제주도, 전남 여수, 경북 경주, 전남 순천, 강원 강릉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중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는데, 제주도, 전북 완주, 충청 단양, 부산 해운대, 강원 춘천, 경남 남해, 충남 서천, 전남 목포 등이 SNS 상에서 많이 언급되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지난 군산편에 이어 경남 남해의 워케이션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남해의 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워케이션 기반을 만들어 나가는 팀들의 이야기에 주목해 보세요! 남해 :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하는 워케이션  경상남도와 전라남도의 경계에 위치한 남해군은 남해도와 창선도 2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보통 ‘남해’라고 하면 남쪽 바다를 떠올리기 때문에 남해군이라는 지역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남해의 인구는 1960년대 13만 명에서 꾸준히 줄어 현재는 약 4만 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남해도는 우리나라에서 5번째, 창선도는 12번째로 큰 섬이고, 섬의 상당 부분이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아름다운 섬의 자연환경에 비해 남해의 고령화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청년의 70%는 대학교 때문에 도시로 떠나고, 65세 이상 인구가 약 38.9%로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습니다. 남해에 없는 것이 두 개가 있는데, 바로 산부인과와 사립 유치원입니다.  아이를 낳거나 키우기 어려운 환경 때문에 인구의 자연감소 현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고, 2021년 10월,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어 정부로부터 지방소멸대응기금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남해에 연고는 없지만, 남해의 풍부한 자원을 활용해 귀농과 귀촌을 선택한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19년 남해군의 귀농귀촌 인구수는 669세대, 1,071명이었는데, 2021년에는 1,181세대, 1,711명으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남해에 귀촌한 청년들은 워케이션을 직접 실천하기도 하고, 워케이션을 위한 타운을 만드는 일도 하고 있습니다. 각자 자기만의 색깔로 남해를 채우고 있는 매력적인 팀을 소개합니다. *출처 : 빅데이터 기반 신규 관광 트렌드 및 사업 발굴 – 워케이션 후보지 발굴과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공사 (2021.10) 1) 판타지 촌 라이프를 꿈꾸는 스타트업, ’팜프라’ 팜프라는 팜(farm, 농장)과 인프라(infra, 기반)의 합성어로 도시에서 이주하려는 청년들이 촌 라이프를 실현하도록 기반을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팜프라를 설립한 유지황 대표는 기아 문제에 직면해있는 아이들의 인권에 대한 관심을 갖고, 분배의 불균형과 선택의 불평등에 놓여있는 사람들이 삶의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고자 남해 두모마을을 선택했습니다.  … 서울이 아니어도 괜찮아 : 워케이션 하기 좋은 도시 2. 남해 계속 읽기